꼬마 요정과 함께하는 순수의 회복
신선미는 동양화 기법을 통해 현대의 모습을 재현하며, 어린 시절의 기억을 화폭에 담아낸다. 그녀의 시그니처인 ‘꼬마 요정’은 핸드폰에 빠져 있는 한복 입은 여인들과 아이의 모습 속에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현시대의 사회상을 반영한다. 작가는 자거나 졸고 있는 인물들을 통해 자신의 일상적인 경험을 그림일기로 풀어내며, 가상의 꼬마 요정을 투입해 소소한 기억을 특별하고 아름답게 표현한다. 꼬마 요정은 어른들이 잃어버린 순수성을 상징하며, 작가는 이를 통해 관객이 다시 어린 시절로 돌아가 동심과 재회하기를 바란다. 결혼과 출산, 아이 양육 속에서도 붓을 놓지 않으며, 다양한 콜라보 작업을 통해 작업의 호흡을 조절해 온 신선미는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한복 여인의 이미지를 통해 사랑의 메시지를 전달한다. 그의 작업은 평범한 소재를 특별하게 변모시키는 능력을 지닌 예술가로서, 관객에게 기억 저편의 순수성과 동심을 회복하도록 이끄는 탁월한 재능을 발휘한다.
-
왕샹밍 Xiangming WangChina, 1956
-
신수원 Shin Soo WonKorea, 1979
-
송은영 Song Eun YoungKorea, 1970
-
박상희 Park Sang HeeKorea, 1979
-
김지희 Kim Ji HeeKorea, 1984
-
김보희 Kim Bo HieKorea, 1952
-
국대호 Guk Dae HoKorea, 1967
-
나윤찬 Na Yun ChanKorea, 1944
-
최영욱 Choi Yong WookKorea, 1964
-
이미경 Lee Mi KyungKorea,
-
김환기 Kim Whan KiKorea, 1913 ~ 1974
-
함수연 Ham Soo YunKorea, 1977
-
이수동 Lee Soo DongKorea, 1959
-
유영국 Yoo Young KukKorea, 1916 ~ 2002
-
신철 Shin CheolKorea, 1953
-
임채욱 Lim Chae WookKorea, 1970
-
류예지 Ryu Ye JiKorea,
-
빈센트 반 고흐 Vincent van GoghNetherlands, 1853 ~ 1890
-
박현웅 Park Hyun WoongKorea, 1969
-
나라 요시토모 Nara YoshitomoJapan, 1959
-
로이 리히텐슈타인 Roy LichtensteinUnited States,
-
이숙자 Lee Sook JaKorea, 1957
-
한명일 Han Myung IlKorea,
-
김현 Kim HyunKorea, 19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