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드미컬한 픽셀 풍경화
‘회화’라는 장르를 탐구하는 전업작가, 전영진은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동대학원을 졸업 후 십여 년간 <Canvas Play>와 <Painting for Painting> 시리즈를 통해 자기만의 회화 세계를 선보여왔다. 색과 반듯한 기하학적 도형으로 번역된 요소들이 만들어내는 픽셀 풍경화는 작가의 시간을 관통하는 회화의 주제다. 반복적인 패턴의 기하학적 구성과 리드미컬한 변주를 통해 ‘회화’라는 장르를 확장된 세계로 재창조하여 보여준다. 작가는 자연, 사람, 책, 공간, 언어 등에서 영감을 얻으며 삼차원의 세계를 이차원의 평면에 담아내는 과정에서 회화 그 자체에 대한 고민을 멈추지 않는다. 이러한 회화의 작용은 대상의 특징을 기하학적인 형태(점, 선, 면) 등으로 단순화하여 차가운 추상으로 표현해내는 작가의 예술 의지라고 할 수 있겠다. 그의 작품은 롯데호텔, 코오롱, 현도종합건설 등에 소장되어 있다.
-
이숙자 Lee Sook JaKorea, 1942
-
아노라 스펜스 Annora SpenceUnited Kingdom, 1963
-
스티븐 윌슨 Steven WilsonUnited Kingdom,
-
이중섭 Lee Jung SeopKorea, 1916 ~ 1956
-
장욱진 Chang Uc ChinKorea, 1917 ~ 1990
-
변종하 Byun Jong HaKorea, 1926
-
김중만 Kim Jung ManKorea, 1954 ~ 2022
-
김쎌 Kim SselKorea,
-
하태임 Ha Tae ImKorea,
-
찰스장 Charles JangKorea,
-
정안용 Jung An YongKorea,
-
오조 OzoKorea,
-
곽수연 Kwak Soo YeonKorea,
-
홍지연 Hong Ji YeunKorea, 1972
-
추혜인 Choo Hye InKorea, 1983
-
최석운 Choi Suk UnKorea, 1960
-
최바다 Choi Ba DaKorea, 1960
-
주태석 Ju Tae SeokKorea, 1954
-
조장은 Jo Chang EunKorea, 1983
-
장재록 Jang Jae RokKorea, 1978
-
임태규 Yim Tae KyuKorea, 1976
-
임수식 Lim Soo SikKorea, 1974
-
이윤진 Lee Yun JinKorea, 1983
-
이상선 Lee Sang SunKorea, 19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