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점과 선의 대가, 여백이 보여주는 정신
이우환은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을 중퇴하고 일본으로 건너가 니혼대학 문학부 철학과를 졸업했다. 일본의 획기적 미술운동인 모노파의 이론과 실천을 주도하고 동양사상으로 미니멀리즘의 한계를 극복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높여갔다. 파리비엔날레, 상파울루비엔날레, 카셀도큐멘타 등 권위 있는 국제전에 참여하여 큰 호응을 얻었다. '점과 선의 대가'로 불리는 이우환의 초기 작품들은 ‘우주 만물은 점에서 시작해 점에서 끝난다’는 스승의 뜻을 잇는 것으로 점이 선이 되고 나아가서는 아무것도 아닐 수 있다는 동양사상에 바탕을 두었다. 이우환의 작업은 ‘획’이 지닌 의미와 ‘그려지지 않은 여백’을 이해해야 한다. 획에는 무한한 순간 속에 정지한 듯, 고요한 가운데 움직이는 듯 정중동, 생동감, 기가 흐른다. 1994년 밀라노의 무디마 미술관과 국립현대미술관에서 개인전을 열었고, 1997년 파리의 국립 주드폼므(Jeu de Paume) 갤러리와 서울의 갤러리현대, 박영덕화랑에서 개인전을 열었다. 요코하마미술관에서 열린 ‘전후 현대 일본의 전위미술’(1994), 베네치아비엔날레 특별전(1995), 프랑스 퐁피두센터에서 열린 ‘메이드 인 프랑스’(1996) 등에 참여했다. 레지옹 도뇌르훈장, 금관문화훈장, 호암상 예술상 등을 수상했으며 2010년 일본 나오시마에 이우환 미술관이 개관했다. 국립현대미술관과 파리 퐁피두센터, 구겐하임, 일본•독일의 미술관 등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다.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거장으로 세계적인 사랑을 받고 있다.
-
박종필 Park Jong PilKorea, 1977
-
이타미준 Itami JunKorea, 1937 ~ 2011
-
김선 Kim SunKorea, 1964
-
김홍식 Kim Hong ShikKorea,
-
서희수 Suh,Hee SuKorea,
-
유충목 Yoo Choong MokKorea, 1977
-
김덕기 Kim DukkiKorea,
-
미셸 들라크루아 Michel DelacroixFrance,
-
갑빠오 KappaoKorea, 1977
-
권옥연 Kwon Ok YunKorea, 1923 ~ 2011
-
이배 Lee BaeKorea, 1956
-
박현옥 Park Hyun OkKorea,
-
김은주 Kim Eun JuKorea,
-
변상태 Byeon Sang TaiKorea, 1952
-
김경화 Kim Kyung HwaKorea, 1958
-
민경갑 Min KyoungkapKorea, 1933
-
김문영 Kim Moon YoungKorea, 1957
-
박수근 Park Soo KeunKorea, 1914 ~ 1965
-
김종학 Kim Chong HakKorea, 1937
-
김수정 Kim Su ZungKorea, 1968
-
최지윤 Choi Ji yunKorea, 1991
-
김효원 Kim Hyo WonKorea, 1970
-
박구환 Park GuhwanKorea, 1964
-
김미경 Kim Mikyung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