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톡으로 회원가입하시고 쿠폰 받아가세요!   카톡회원가입 5%+플친 5% Welcome Coupon 증정!!
/
작가 이미지
이중섭 Lee Jung Seop
Korea, 1916 ~ 1956 작가 알아보기

자연과 가족의 애환을 엮은 서정적 화폭

이중섭은 굵고 강인한 선으로 소와 천진한 아이들을 그리며, 박수근과 함께 한국 근대 서양화의 거목으로 손꼽힌다. 평남 평원의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난 그는 한문 사숙에서 고전을 배우고, 평양의 보통학교에서 그림을 그리며 성장했다. 이후 오산학교에서 예일대와 파리에서 유학한 임용련에게 본격적으로 미술을 배우고, 일본 문화학원에서 모더니즘 미술을 공부하며 독특한 작품세계를 구축했다. 그의 초기 작품은 민족의식이 담긴 향토적인 요소를 지니고 있으며, 가족과의 이별을 주제로 한 은박지 그림에서는 시대와 개인의 감정을 깊이 있게 표현했다. 이중섭은 자유로운 기질과 예민한 감수성을 지닌 순진무구한 인물로, 그의 문제의식과 재능은 이별의 고통과 그리움 등 자신의 삶을 반영한다. 개인적 고뇌를 진솔하고 생생하게 표현한 그의 화법은 한국 미술의 중요한 전형을 이루었다. 현존하는 소묘와 회화작품, 후기의 은지화는 자유자재한 선묘와 서정적 표현이 돋보이며, 아내 마사코와 아이들과의 제주에서의 짧은 생활을 담은 천진한 그림들과 편지에는 그의 고독과 외로움, 가족에 대한 사랑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그는 종군화가와 미술교사로 활동하며 김병기, 유영국, 구상, 박인환, 전혜린과 교류하며 한 시대를 풍미했지만, 아프고 궁핍한 삶을 살았다. 서른아홉의 짧은 생애 동안 <아이들과 물고기와 게>, <길 떠나는 가족>, <사내와 아이들>, <소와 어린이>, <투계>, <황소> 등 많은 작품을 남겼고, 1978년에는 은관 문화훈장을 수상했다. 현재 제주도에는 이중섭 거주지, 이중섭거리, 이중섭박물관이 존재한다.

  • 최바다 Choi Ba Da
    Korea, 1960
  • 주태석 Ju Tae Seok
    Korea, 1954
  • 조장은 Jo Chang Eun
    Korea, 1983
  • 장재록 Jang Jae Rok
    Korea, 1978
  • 임태규 Yim Tae Kyu
    Korea, 1976
  • 임수식 Lim Soo Sik
    Korea, 1974
  • 이윤진 Lee Yun Jin
    Korea, 1983
  • 이상선 Lee Sang Sun
    Korea, 1969
  • 왕샹밍 Xiangming Wang
    China, 1956
  • 신수원 Shin Soo Won
    Korea, 1979
  • 송은영 Song Eun Young
    Korea, 1970
  • 박상희 Park Sang Hee
    Korea, 1979
  • 김지희 Kim Ji Hee
    Korea, 1984
  • 김보희 Kim Bo Hie
    Korea, 1952
  • 국대호 Guk Dae Ho
    Korea, 1967
  • 나윤찬 Na Yun Chan
    Korea, 1944
  • 최영욱 Choi Yong Wook
    Korea, 1964
  • 이미경 Lee Mi Kyung
    Korea,
  • 김환기 Kim Whan Ki
    Korea, 1913 ~ 1974
  • 함수연 Ham Soo Yun
    Korea, 1977
  • 이수동 Lee Soo Dong
    Korea, 1959
  • 유영국 Yoo Young Kuk
    Korea, 1916 ~ 2002
  • 신철 Shin Cheol
    Korea, 1953
  • 임채욱 Lim Chae Wook
    Korea, 1970
상단 이동 카카오톡 플러스친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