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른을 위한 동화
“나의 그림들은 어릴 적 담벼락에 그렸던 낙서의 연장이며 내가 꿈꾸고 살아가는 모습의 그림일기이다.” 그의 작품에 극사실화로 묘사된 동물들은 메타포로, 현실 속에서 마주하는 삶과 나아가야 할 이상향을 동시에 은유한다. 초현실과 극사실을 넘나드는 송형노의 작품은 꿈과 가족, 현대를 살아가는 상황과 이상향을 은유적인 화법으로 풀어간다. 그의 그림에 등장하는 인공적인 석벽은 현재 상황과 현실을, 석벽 위에 홀로 있는 동물은 꿈을 잊지 않고 담장 너머로 꿈과 소망을 바라보며 이루어 나가는 행복을 의미한다. 돼지는 골격 구조상 벽에 기대지 않으면 하늘을 볼 수 없기 때문에 늘 담벼락에 기대어 하늘을 바라보며 꿈을 그린다. 작가가 늘 이야기하는 ‘사랑’과 ‘행복’은 살아가는 데 있어서 가장 소중한 가치이며, 특히나 가족을 향한 사랑은 송형노 작가를 움직이게 하는 원동력이자 기쁨이다. 작가는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홍콩, 밀라노, 런던, 프랑스, 미국, 베이징 등 다수의 국가에서 아트페어와 전시에 300여 회 이상 참여하였고, 홍콩과 서울에서 17회의 개인전을 개최했다. 작가의 작품은 대림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홍콩기업사옥 등에 소장되어 있다.
-
김영주 Kim Young JooKorea, 1987
-
허달재 Huh Dal JaeKorea,
-
김선형 Kim Sun HyungKorea, 1963
-
윤혜진 Yoon Hye JinKorea, 1975
-
윤기원 Yoon Gi WonKorea,
-
성태진 Seong Tae JinKorea,
-
권경엽 Louise KwonKorea, 1980
-
이상화 Lee Sang HwaKorea, 1988
-
이건우 Lee GeonwooKorea, 1992
-
이혜민 Lee Hye MinKorea, 1954
-
이우준 Lee Woo JoonKorea, 2000
-
김강용 Kim Kang YongKorea,
-
류재혁 Ryu Jae HyeokKorea, 1989
-
박서보 Park Seo BoKorea, 1931 ~ 2023
-
테즈킴 Tez KimKorea, 1977
-
김정선 Kim Jeong SeonKorea, 1964
-
황문성 Hwang Moon SungKorea, 1955
-
한상윤 Han Sang YoonKorea, 1984
-
이인숙 Lee In SookKorea, 1951
-
김태호 Kim Tae HoKorea, 1948 ~ 2022
-
소요킴 Soyo, KimKorea, 1963
-
홍재연 Hong Jae YeonKorea,
-
조세랑 Cho Se RangKorea, 1977
-
윤병락 Yoon Byung RockKorea, 19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