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양의 정신 세계를 함축하는 오브제들
양해웅의 오브제는 관계에 대한 연구와 고민을 통한 사유의 산물이다. 작가 자신의 몸을 비롯하여 사람과 자연의 관계에 이르기까지 그 관계의 변화와 조화라는 관점을 응시한 이미지의 축적이다. 동양의 정신세계를 함축하고 해체하는 과정에서 파생된 오브제는 모던하고 딘순한 이미지로 재탄생한다. 참다운 관계의 성립은 교류와 확장, 견제와 균형, 비움과 자유라는 상대적인 심리의 대상이 된다. 그의 조소작품에서는 색감이 인상적인 포에지(poesy)로 드러나기도 한다. 작가의 예리한 시선은 삼라만상속 동양적 정신세계의 깊이를 미학적인 코드로 환원해낸다. 양해웅은 프랑스, 독일, 중국 등 국내외에서 많은 개인전과 단체전에 참여하며 활발한 작품 활동을 하고 있다.
-
박종필 Park Jong PilKorea, 1977
-
이타미준 Itami JunKorea, 1937 ~ 2011
-
김선 Kim SunKorea, 1964
-
김홍식 Kim Hong ShikKorea,
-
서희수 Suh,Hee SuKorea,
-
유충목 Yoo Choong MokKorea, 1977
-
김덕기 Kim DukkiKorea,
-
미셸 들라크루아 Michel DelacroixFrance,
-
갑빠오 KappaoKorea, 1977
-
권옥연 Kwon Ok YunKorea, 1923 ~ 2011
-
이배 Lee BaeKorea, 1956
-
박현옥 Park Hyun OkKorea,
-
김은주 Kim Eun JuKorea,
-
변상태 Byeon Sang TaiKorea, 1952
-
김경화 Kim Kyung HwaKorea, 1958
-
민경갑 Min KyoungkapKorea, 1933
-
김문영 Kim Moon YoungKorea, 1957
-
박수근 Park Soo KeunKorea, 1914 ~ 1965
-
김종학 Kim Chong HakKorea, 1937
-
김수정 Kim Su ZungKorea, 1968
-
최지윤 Choi Ji yunKorea, 1991
-
김효원 Kim Hyo WonKorea, 1970
-
박구환 Park GuhwanKorea, 1964
-
김미경 Kim MikyungKorea,